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||||
4 | 5 | 6 | 7 | 8 | 9 | 10 |
11 | 12 | 13 | 14 | 15 | 16 | 17 |
18 | 19 | 20 | 21 | 22 | 23 | 24 |
25 | 26 | 27 | 28 | 29 | 30 | 31 |
Tags
- ios
- ViewController
- Xcode
- 디자인패턴
- Lifecycle
- Mobile
- 컴파운드패턴
- 팩토리메서드패턴
- 상태패턴
- WKWebView
- 전략패턴
- 옵저버패턴
- 컴포지트패턴
- unowned
- 데코레이터패턴
- 스테이트패턴
- 어댑터패턴
- 이터레이터패턴
- Scenedelegate
- 템플릿메서드
- 프록시패턴
- cocoapods
- DispatchQueue
- 싱글턴패턴
- 스트래터지패턴
- 파사드패턴
- SWIFT
- RxSwift
- 커맨드패턴
- 추상팩토리패턴
Archives
- Today
- Total
ios dev kangwook.
iOS) Scene 본문
Split View, Slide Over에 대한 이슈를 처리하다 보니 Scene에 대한 이해가 필요했다.
뿐만 아니라 Scene의 각 Life Cycle과 적용되는 메서드들 등에 대해서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느껴서 Scene에 대해 다뤄보려고 한다.
Scene
- iOS13부터 나온 개념으로 앱 UI의 여러 인스턴스를 동시에 관리하고 리소스를 UI의 적절한 인스턴스로 지정하는 역할을 한다.
- 즉, 한 앱에도 여러 인스턴스가 있을 수 있고, 여러 인스턴스들이 동시에 보여질 수 있다는 것
- 예) 다음과 같이 메모앱을 두 Scene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 있음
- 앱의 각 인스턴스는 UIWindowScene 객체로 관리되고, 하나의 Scene은 앱 인스턴스의 UI를 표현하기 위해 window, viewcontroller를 포함하고 있다.
- Scene들은 concurrently run되며 하나의 앱에서 같은 메모리와 프로세스 공간을 공유
Conceptual Overview
- UIApplication : 프로세스 상태
- UIApplicationDelegate : 프로세스 이벤트와 생명주기
- UIWindowScene : UI 상태
- UIWindowSceneDelegate : UI 이벤트와 생명주기
- UISceneSession : 지속된 UI 상태
UI 계층 구조
iOS 12(and earlier)
iOS 13(and later)
Application 계층 구조
'iO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iOS) Static / Dynamic Library (0) | 2022.10.04 |
---|---|
iOS) Architecture Pattern (0) | 2022.09.29 |
iOS) Split View (0) | 2022.09.17 |
Xcode) project.pbxproj (0) | 2022.09.11 |
iOS) Memory Management - ARC (0) | 2022.08.27 |
Comments